북한자원 뉴스레터
 
     
 

이달의 특집

2016년 상반기 북·중 광산물 무역동향

2016년 상반기 북·중 광산물 무역동향

1. 북중 전체 무역

o 2016년 북·중 상반기 무역액은 25.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천 6백만 달러 증가

- 대중국 수출액은 11.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7% 감소

- 대중국 수입액은 14억 4백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

【 그림 1. 2016년 상반기 북·중간 전체무역 추이 】

【 그림 1. 2016년 상반기 북·중간 전체무역 추이 】

2. 대중국 광산물 무역

o 광산물 무역총액은 6.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천7백만 달러, 10.1% 감소

o 광산물 수출

- 북한의 광산물 수출액은 6.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8억 달러 감소, 11.7% 하락하였으며 대중국 수출에서 광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58.5%에서 54.3%로 4.2%p 하락

* 광산물 수입 감소는 무역 적자를 줄이기 위해 북한 당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원료 및 자재 국산화 정책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분석

【 그림 2. 최근 10년 상반기 북·중 광산물 수출 추이 】

【그림 2. 최근 10년 상반기 북·중 광산물 수출 추이 】
 】

- 광산물 수출액의 감소는 최근 중국 경기침체와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

o 광산물 수입

- 북한의 광산물 수입액은 7천4백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하였으며, 대중국 수입 중 광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5.3%로 전년도와 동일

- 북한은 매년 50만톤 내외의 중국 원유를 수입해왔으나 2014년 이후 중국 해관총서 무역통계에 포함되지 않아 광산물 수입 비중 하락

【 그림 3. 최근 10년 상반기 북·중 광산물 수입 추이 】

【 그림 3. 최근 10년 상반기 북·중 광산물 수입 추이 】

3. 주요 품목 동향

□ 주요 수출 품목

1) 주요 수출 품목 구성

o 북한의 주력 수출품목인 석탄, 철광석의 수출금액은 전년도 상반기 6.1억 달러에서 5.2억 달러로 81백만 달러(전년 동기 대비 13.4%)감소

- 2016년 상반기 두 품목의 광산물 수출액 비중은 86.3%로 전년 동기 대비 1.8%p 하락

【 표 1. 북·중 광산물 수출품목 구성(금액기준) 】

【 표 1. 북·중 광산물 수출품목 구성(금액기준) 】

2) 광산물

① 석탄 및 고형연료(HS 2701)2)

- 대중국 최대 수출품목으로 전체 수출액의 43.6%, 광산물 수출액의 80.3% 차지

- 전년 동기 대비 수출단가가 22.3% 하락하여 수출물량이 10% 증가했음에도 수출금액은 14.6% 감소

【 표 2. 상반기 대중국 석탄 수출 】

【 표 2. 상반기 대중국 석탄 수출 】

- 전년 대비 대중국 석탄수출량은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 연속 증가하였으나 4월 이후 3개월 연속 감소, 이는 중국 연관 산업의 수요 변동과 4월초 발표한 중국의 대북제재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 그림 4. 상반기 북한의 대중국 석탄 수출 추이 비교 】

【 그림 4. 상반기 북한의 대중국 석탄 수출 추이 비교 】

② 철광석(HS 2601)

- 대중국 주력 수출품목 중 하나로 전체 수출액의 3.2%, 광산물 수출액의 5.9% 차지

- 상반기 대중국 수출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8% 증가하였으나 수출단가는 13.2% 감소하여 수출금액은 소폭 증가

【 표 3. 상반기 대중국 철광석 수출 】

【 표 3. 상반기 대중국 철광석 수출 】

- 전년 동기 대비 철광석 수출량은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 연속 전년보다 감소하였으나, 4월 이후 3개월 연속 증가

【 그림 5. 2016년 상반기 북한의 대중국 철광석 수출 추이 】

【 그림 5. 2016년 상반기 북한의 대중국 철광석 수출 추이 】

③ 기타 광산물

o 여타 광산물은 광종에 따라 대중국 수출금액 증감 상이

- 수출금액 증가: 아연광 273%↑, 마그네사이트 20.4%↑, 티타늄광 36.9%↑

- 수출금액 감소: 연광 18.1%↓, 동광 5.4%↓, 귀금속광 56.0%↓ 흑연 47.7%↓

【 표 4. 상반기 북한의 대중국 기타 광산물 수출 】

【 표 4. 상반기 북한의 대중국 기타 광산물 수출 】

3) 금속 및 가공제품

o 광산물 1차 가공품인 철 및 비철금속은 품목에 따라 대중국 수출 증감 상이

- 수출금액 증가: 아연괴 13,236%↑, 합금철 57.6%↑, 연괴 76.9%↑

- 수출금액 감소: 선철 59.7%↓, 정제동 8.0%↓, 철강잉곳 62.9%↓ 알루미늄괴 76.7%↓

【 표 5. 2016년 상반기 북한의 금속 및 가공제품 수출 】

【 표 5. 2016년 상반기 북한의 금속 및 가공제품 수출 】

□ 주요 수입 품목

1) 주요 수입 품목 구성

- 최대 수입 품목은 정제유, 시멘트로 전년 동기 대비 광산물 수입품목 비중이 71%에서 74%로 3%p 증가

【 표 6. 북·중 광산물 수입품목 구성(금액기준) 】

 【 표 6. 북·중 광산물 수입품목 구성(금액기준) 】

2) 광산물

- 수입금액 증가: 시멘트 81.4%↑, 석탄 및 고형연료 144.5%↑

- 수입금액 감소: 석유 및 조제품 0.4%↓

【 표 7. 2016년 상반기 북한의 대중국 주요 광산물 수입 】

 【 표 7. 2016년 상반기 북한의 대중국 주요 광산물 수입 】

4. 평가 및 시사점

o 2016년 상반기 북한 광산물 대중국 수출액은 중국 경기 둔화와 국제 원자재 가격 회복 지연, UN 대북 제재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7% 감소, 품목별 대중국 수출액 증감은 수급여건에 따라 상이한 양상

- 최대 수출품목인 석탄의 대중국 수출물량은 1,050만톤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던 2015년 상반기보다 10% 증가하였으나 수출단가 낙폭(22.3%↓) 확대로 수출액은 14.6% 감소

* 북한의 대중국 수출 석탄의 99% 이상은 무연탄이 차지, 동 기간 중 여타 국가로부터의 무연탄 수입은 20% 이상 감소한 상황에서 북한 무연탄 수입물량만 증가한 것은 북한의 저가 수출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

- 철광석의 대중국 수출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8% 증가하여 동 기간 중국 전체 철광석 수입증가율보다 두배 이상 늘어났으나 단가는 13.2% 하락하여 수출금액은 소폭(3.8%) 증가

* 중국의 철광석 수입물량 중 북한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0.1% 수준으로 북한 철광석이 중국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며 물량 규모가 작아 단기계약 위주로 거래됨에 따라 중국 철광석 수급과 가격 변동에 민감

- 아연광과 마그네사이트의 경우 대중국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3%, 40.6% 증가, 이는 중국 연관 산업의 수급 상황과 아울러 대북제재 대상 품목에 포함되지 않은 점도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

o 2016년 하반기에는 중국 경기 둔화와 국제 원자재 가격 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의 철강·석탄산업 공급과잉해소를 위한 생산능력 감축 정책 시행으로 북한 광산물의 대중국 수출은 위험요인과 함께 기회요인에 직면할 전망

- 위험요인은 중국 철강생산능력 감축으로 철강용 무연탄과 철광석 수요가 감소하므로써 북한산 수출물량 감소와 단가 하락 압력이 증가할 가능성

- 기회요인은 중국 철광산과 석탄광산 생산 감축으로 원료수급 공백 발생 시 가격 협상력이 유리하고 지리적으로 인접한 북한 광산물 수입을 우선 고려할 가능성

<끝>

 1) 본 자료는 2016.7.22. 중국해관총서 발표 북중 무역통계를 기초로 작성, 본 자료의 광산물은 HS Code 25~27로 시작되는「광물성생산품」으로 전제. 동 분류에는 각종 원광석, 정광, 석탄, 석유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 희토류 제품(HS Code 28, 36), 금괴․은괴와 같은「귀금속류」(HS Code 71로 시작), 아연괴, 동합금, 선철 등과 같은「철 및 비철금속제품」(HS Code 72~83로 시작)은 제외
 2) 「석탄 및 고형연료」(HS Code 2701)에는 무연탄((HS Code 2701-1100-00), 유연탄(2701-12), 기타 석탄(2701-19), 고형연료(2701-20)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이중 북한이 수출하는 종류는 무연탄으로 전체「석탄 및 고형연료」의 99.7%(중량)를 차지
 3) 희토류는 희토류 금속광물(2530-9020), 알칼리금속(2805-1900), 산화세륨(2846-1010), 탄산세륨(2846-1030), 산화란탄늄(2846-9012), 산화네오디뮴(2846-9013), 산화희토(2846-9019), 탄산란탄늄(2846-9041), 탄산네오디뮴(2846-9044), 혼합탄산희토(2846-9048), 기타탄산희토(2846-9049), 프라세오디뮴(2846-9095), 페로세륨(3606-9011)으로 구성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www.sonosa.or.kr 뉴스레터 추천하기 뉴스레터 수신거부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