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자원 뉴스레터
 
     
 

이달의 특집

북한의 철광석 동향

○ 북한은 매년 신년사에서 각종 산업에 필요한 철강 자재의 공급 확대를 위해  원료 광물 생산 증대, 제철·제강 생산 정상화와 증산을 강조  
 - 최근 국산 무연탄과 철광석을 원료로 산소열법 용광로 공정을 적용한 새로운 주체철 생산방법을 도입하고 신공법 안정화에 주력  
○ 북한은 매년 150만톤∼300만톤의 철광석을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으나 남한은 연간 6,300만톤∼7,300만톤의 철광석을 호주·브라질 등 해외에서 수입
  - 최근 5년간 북한산 철광석의 대중국 수출단가는 남한 철광석 수입단가의 68∼79%  수준으로 남북 협력 시 남한은 제철 원료의 안정 공급과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북한은 철광석 판매수익으로 광산 및 인프라 현대화 가능

1. 철 개요

□ 철이란?

○ 순수한 철은 회색의 광택을 가진 금속이나 순수 금속 상태로는 거의 발견되지 않으며 상온에서는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지만 공기 중의 습기에 부식되며, 탄소·규소·망간·크롬·몰리브덴·티탄 등의 다양한 원소와 합금강으로 제조되어 내산·내열·내마모·공구·구조·전기·선박건조·자동차·특수강 등으로 이용

□ 철광석 분류

-철광석은 대부분 산화물의 형태로 산출되며 주요 광물로는 적철광, 자철광, 갈철광, 침철광, 티탄철광 등이 있으며, 기타 탄산과 황의 화합물로써 능철광과 황철광이 존재

【표1. 철광석 종류별 사진】

표1. 철광석 종류별 사진

【표2. 철광석 분류】

표2. 철광석 분류

자료:한국광물자원공사, 홈페이지-자원정보시스템(KOMIS)

□ 철광석 용도

-철광석의 대부분은 제철, 제강의 원료로 쓰이고 단지 소량만이 시멘트, 중액제(Heavy-medium Material), 산화철 염료, 동물사료의 첨가제 등으로 이용

【표3. 철광석 용도】

표3. 철광석 용도

2. 철광석 부존 및 생산

□ 철광석 부존 현황

○ 전 세계 철 매장량은 금속 기준 820억 톤 가량이며, 호주·러시아·브라질 등에 약 60% 매장
-북한의 철 잠재매장량은 정광 기준(Fe 50%) 50억 톤으로 남한의 135배에 해당하며, 이를 국제적 지질조사기관인 미국의 USGS 전 세계 매장량 통계에 동 수치를 반영하면 세계 매장량 6위로 추정
-남한의 철 매장량은 확정치와 추정치를 합하여 정광 기준 3,705만 톤(Fe 50%)에 불과

【그림1. 세계 철 매장량 점유율】

그림1. 세계 철 매장량 점유율

출처. 미국지질조사국과 한국광물자원공사 자료를 인용하여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서 작성

□ 철광석 생산 현황

-호주는 2016년 기준 전 세계 철광석 생산량의 37%를 점유하고 있는 최대의 생산국이며, 주요 생산국은 호주·브라질·중국·인도로 4개 국가의 생산량이 전 세계 생산량의 78%를 차지

-북한은 금속기준으로 2016년 약 164만 톤을 생산하였으며, 주요한 외화벌이 수단으로 활용

-남한은 정광 기준으로 연간 약 45만 톤을 생산하며, 매장품위도 낮은 편

【표4. 전 세계 광산 생산】

표4. 전 세계 광산 생산

자료 1) U.S. Geological Survey,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17(2017/01)
2) WBMS, World Metal Statistics Yearbook 2017(2017/05) 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6 광업․광산물 통계연보(2017/05)

□ 제품생산 현황

① 선철1)생산

고로에서 생산된 세계 선철 총생산량은 2015년 기준 약 11억 5,600만 톤이며 중국이 6억 9,100만 톤으로 약 60%를 점유

- 북한의 선철 생산량은 원료 수급과 설비 노후로 연간 25만 톤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 남한의 선철 생산량은 약 4,800만 톤으로 전 세계 5위를 차지

주 1) 선철은 용광로에서 철광석을 녹여 만든 쇳물을 말하며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선

【표5. 전 세계 선철 생산】

표5. 전 세계 선철 생산

자료:한국철강협회, 철강통계연보 2016(2016/08)

② 강철생산

-제강 공정1)을 거친 강철 생산량은 2015년 기준 중국이 50%로 절반을 점유

-북한의 강철 생산량은 가동률 저조로 125만 톤 가량 생산

-남한의 강철 생산량은 7,000만 톤으로 전 세계 6위를 차지

주 1) 제강 공정은 선철 및 고철 등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강철을 만드는 공정

【표6. 전 세계 강철 생산】

표6. 전 세계 강철 생산

자료:한국철강협회, 철강통계연보 2016(2016/08)

○ 북한 주요 제철소

-북한의 주요 제철소는 김책제철련합기업소2)와 황해제철련합기업소가 있으며 특히 김책제철련합기업소는 아시아 최대 노천 철광산인 무산광산으로부터 철광석을 공급받아 강철을 생산, 북한 전체 제선능력3)의 약 41%를 차지

주 2) 북한 고유명사는 북한식 표기방법을 따름.
주 3) 제선능력에는 삼화철4)능력을 포함
주 4) 삼화철(주체철): 북한 국내에서 생산되는 철광석, 무연탄, 고령토의 3개 원료를 이용하여 회전로에서 생산된 제강용 원료

【표7. 북한 주요 제철소】

표7. 북한 주요 탄광 현황

자료:KDB 산업은행, 북한의 산업 2015(2015/12/21)

○ 남한 주요 제철소
- 남한의 주요 제철소는 포스코와 현대제철로 제선능력의 전량, 전체 제강능력의 80%, 제강생산의 90%를 차지

【표8. 남한 주요 제철소】

표8. 남한 주요 제철소

자료 1) 한국철강협회, 2016년 철강생산능력(2016/06)
2) 한국철강협회, 2016년 철강통계연보(2016/08)

3. 북한의 철광산 현황

□ 북한의 주요 광산

-북한의 주요 철광산은 무산광산련합기업소, 은률광산, 재령광산 등이 있으며 특히 무산광산련합기업소는 북한 최대의 철광산으로 정광기준으로 연간 350만 톤 생산 규모이나, 현재 약 100만 톤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표9. 북한 주요 광산】

표9. 북한 주요 광산

자료:한국광물자원공사, 북한 광물자원 개발현황(2011/12)

4. 철광석 무역 현황

□ 북·중 무역

-북한산 철광석의 대중국 수출은 2013년까지 증가하여 306만 톤 규모였지만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16년 수출물량은 약 164만 톤 수준까지 하락

- 수출단가는 2011년 최고정점($129/톤)을 기록한 후 계속 하락하여 2016년은 $45/톤에 불과

- 2013년 이후 대중국 철광석 수출 감소는 중국의 경기 둔화와 철강산업 구조조정에 따른 수요감소, 국제 철광석 가격 하락세 지속 및 이로 인한 북한의 수출 채산성 악화에 따른 수출물량 조절, 철광석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북한내 선철 및 삼화철 생산 확대 노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

【그림2. 북한의 대중 철광석 수출 추이】

그림2. 북한의 대중 철광석 수출 추이

주) 2009년도 북한의 대중국 수출량은 중국의 자료 미공개로 4개월간의 실적이 미반영 되었음(8월~11월)
출처: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인용하여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서 작성

□ 남한 수입

① 연도별 수입 현황

- 국내 철광석 해외 수입량은 2007~2016년까지 10년간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2016년은 2007년 대비 55% (2,554만 톤↑) 증가

【그림3. 남한의 해외 철광석 수입 추이】

그림3. 남한의 해외 철광석 수입 추이

출처: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인용하여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서 작성

- 국내 철광석 해외 수입단가 추이는 북한의 대중 수출단가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단가 차이는 뚜렷하며 2016년 기준 $12/톤 높은 편

【그림4. 남북한 철광석 수출입 가격 추이】

그림4. 남북한 철광석 수출입 가격 추이

출처: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인용하여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서 작성

② 국가별 수입 현황

- 2015년 국내의 철광석 총 수입량은 7,254만 톤이며, 주요 수입국은 호주·브라질로 이 두 국가로 부터의 수입량은 90% 수준

- 2011~2015년까지 한국의 남아프리카에서 철광석 수입량은 연 평균 318만 톤, 동일한 기간 북한의 대중 철광석 수출량은 247만 톤으로 71만 톤 차이에 불과

【그림5. 2015년도 한국의 국가별 철광석 수입 점유율】

그림5. 2015년도 한국의 국가별 철광석 수입 점유율

출처: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인용하여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서 작성

5. 평가 및 시사점

○ 북한의 철광석 매장량은 50억 톤(품위 Fe 50%)으로 남한 철광석 매장량의 약 135배 수준
- 북한은 철광석을 비롯한 광물자원의 매장량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일정한 기간을 단위로 국가자원개발성의 주도하에 현행탐사와 전망탐사를 함께 추진하고 있으나 자료 미공개로 최근 매장량은 확인 불가

○ 2015년 북한의 철광석 생산량은 약 Fe 100% 기준 154만 톤으로 추정
- 매장량에 비해 생산규모가 적은 이유는 전력 공급 부족, 채굴 장비 및 광산설비 노후, 자재·부품 조달 곤란 등에 기인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자유치를 통한 전력공급 개선 및 설비 현대화 필요

○ 북한은 매년 150만톤∼300만톤의 철광석을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으나 남한은 연간 6,300만톤∼7,300만톤의 철광석을 호주·브라질 등 해외에서 수입
- 최근 5년간 북한산 철광석의 대중국 수출단가는 남한 철광석 수입단가의 68∼79% 수준으로 북한 철광산 개발 남북 협력 시 남한은 제철 원료의 안정 공급과 운송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북한은 철광석 판매대금을 재원으로 광산 및 인프라 현대화 추진 가능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www.sonosa.or.kr 뉴스레터 추천하기 뉴스레터 수신거부 하기 북한자원뉴스레터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