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자원 뉴스레터
 
     
 

특집1

북한 마그네사이트 동향

특집 요약

Ⅰ. 마그네사이트 개요

□ 마그네사이트란?

o 마그네사이트는 천연에서 산출되는 탄산마그네슘(MgCO3)으로 광물명은 능고토석(菱苦土石)
- 이론적으로 MgO 47.8% 함유, 결정질과 비결정질로 존재하며 석회암과 백운암의 교대광상에서 산출
- 650℃에서 마그네시아(MgO)와 CO2로 분해(MgCO3→MgO+CO2↑), 색상은 일반적으로 흰색을 띄나 철분을 함유할 경우 갈색 혹은 진한 갈색
- 현재 남한에는 마그네사이트 광산이 없고 가공제품인 마그네시아클링커를 수입하여 사용

<표1> 마그네사이트광석과 전융마그네시아

마그네사이트광석과 전융마그네시아



□ 마그네시아 종류

<표2> 마그네시아 종류별 특성

마그네시아 종류별 특성



□ 종류별 용도

<표3> 마그네시아 종류별 용도

마그네시아 종류별 용도



Ⅱ. 마그네사이트 부존 및 생산

□ 마그네사이트 부존 현황

o 세계 마그네사이트 매장량은 MgO 함량 기준 78억 톤이며, 주요 부존 국가는 러시아, 북한, 중국 등으로 상위 3개국 매장량이 세계 매장량의 61% 점유
- 북한의 마그네사이트 매장량은 15억 톤(MgO 100% 기준)으로 러시아에 이어 세계 2위
- 북한 내 주요 부존지역은 함경남도 단천, 양강도 백암, 함경북도 김책 등이며 남한에서는 산출되지 않아 전량 수입에 의존

<그림1> 세계 마그네사이트 매장량 구성

출처. ‘18년 미국지질조사소(USGS) 자료를 인용하여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서 작성


□ 마그네사이트 생산 현황

- 세계 생산량은 ‘15년부터 ’17년까지 연간 약 2,770만 톤이며, 중국이 전체 생산량의 67%인 1,800만 톤을 생산
- 북한은 ‘12년 마그네사이트를 14만 9,000톤(MgO 100% 기준)을 생산한 이후 계속 증가하여 ’17년 생산량은 30만 톤을 기록하였으나 남한의 마그네사이트 생산 실적은 전무
- ‘17년 북한 마그네사이트 생산량 30만 톤에서 대중국 수출량을 차감한 약 12만 톤 내외가 북한 자체 수요량으로 추정

<그림2> ‘17년 세계 마그네사이트 생산량 구성


□ 내화물 생산 현황

o 북한의 마그네사이트 관련 주요 내화물공장은 단천마그네샤공장과 성진내화물공장 등

<표4> 북한 주요 내화물공장

자료 : KDB 산업은행, 북한의 산업 2015(‘15.12.21)


o 남한은 마그네시아클링커를 직접 생산하지 않고 마그네시아클링커, 알루미나, 고령토 등 1차 가공품을 수입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부정형 또는 정형 내화물 제품을 생산

<표5> 남한 주요 내화물공장

자료 : 대한내화물공업협동조합, 2016년 내화물공업현황(2017/01)


Ⅲ. 북한 마그네사이트 광산 현황

□ 북한의 주요 광산

o 북한 함경남도 단천 지역에 세계적인 수준의 품위와 매장량을 가진 광산 분포

<표6> 북한 마그네사이트 주요 광산

자료 : 한국광물자원공사, 북한 광물자원 개발 현황(2011/12)


<표7> 북한 마그네사이트 주요 광산


Ⅳ. 남북한 마그네사이트 무역 현황

□ 남북 교역 현황

o ‘96년부터 마그네사이트 남북교역이 시작된 이후 ’09년까지 5만 106톤(480만 달러) 반입
o ‘10년부터 ’17년말까지 교역실적은 전무하나 ‘96~’09년 동안 ‘01년, ’06년, ‘07년을 제외한 나머지 해에는 매년 북한 마그네사이트 반입

<그림3> 남한의 마그네사이트 반입 추이

출처: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인용하여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서 작성


□ 북중 무역 현황

o 17년 북한산 마그네사이트 제품의 대중국 수출은 17만 6,615톤(2,416만 달러)으로 ’98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
‘17년 마그네사이트 관련 제품의 대중국 수출 증가는 ’16년 이후 강화되어온 UN 대북제재 대상에 마그네사이트가 가장 늦게 포함되어(‘17.12.22) 석탄·철광석 등 주력 수출품목의 공백을 마그네사이트를 통해 완화하려는 북한의 수출 전략에 기인

<그림4> 북한 마그네사이트 관련 제품 대중국 수출(‘07-’17)

출처: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인용하여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서 작성


o ‘07년 대비 ’17년 북한의 마그네사이트 제품 종류별 대중국 수출은 가공도와 부가가치가 낮은 경소마그네시아 제품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
- 경소:중소:전융 제품별 대중국 수출물량 비중은‘07년 50:41:9에서 ’17년 81:17:2로 변화
부가가치가 높은 전융마그네시아와 중소마그네시아의 수출 비중 감소는 자국 무연탄에 의한 수입 코크스 대체와 전력공급이 원활치 못한데 기인

<그림5> 북한 마그네사이트 제품 종류별 대중국 수출(‘07-17)

출처: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인용하여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서 작성


□ 남한 수입 현황

o 남한은 ‘07~’17년까지 매년 평균 21만 6,025톤을 중국 등 해외에서 수입

<그림6> 남한의 마그네사이트 관련 제품 수입(‘07-’17)

출처: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인용하여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서 작성


o 남북한의 마그네시아 제품 종류별 대중 수출입 단가 차이는 전융>중소>경소 순으로 부가가치가 높을수록 단가 차이 확대
* 최근 11년간 남한은 북한이 중국으로 수출한 가격보다 전융마그네시아 $297/톤, 중소마그네시아 $94/톤, 경소마그네시아 $18/톤 더 비싼 가격으로 수입

<그림7> 남한의 마그네사이트 관련 제품 수입(‘07-’17)

출처: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인용하여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서 작성


Ⅴ. 세계 마그네시아 동향(Industrial Minerals ’17년 9월호, 12월호)

□ 중국 마그네시아 동향

o ‘17년 세계 마그네시아 시장은 중국 당국의 마그네사이트 광산 및 마그네시아 가공공장에 대한 환경 감독 강화에 따라 수급과 가격에 큰 영향
- ‘17년 1월 WTO 패소로 중국의 마그네시아 수출세(경소 5%, 중소와 전융 10%)와 수출할당수수료($30.2~$52.8)가 폐지되면서 단기적으로 중국산 마그네시아 수출가격이 14~21% 하락하였으나,
- 중국 당국의 환경검열 강화로 마그네사이트 광산 및 가공공장 가동률이 급감하면서 수출가격이 폭등, ’17년 1월 대비 10월 수출가격은 경소 48%, 중소 220%, 전융 326% 상승
- ‘16년 세계 마그네시아 생산량의 63%, 내화물 생산량의 65%를 중국 랴오닝성 다스차오와 하이청 지역에서 생산, 중국 당국은 해당 지역의 국영기업을 중심으로 중소형 광산 및 가공공장을 통폐합하는 구조조정 추진 중
- 중국은 ‘17년 1∼9월 9개월간 북한산 마그네시아를 13.7만톤 수입, 전체 수입물량의 94.5%(경소 99%, 중소 82%, 전융 55%)를 북한에서 조달, 북한산 수입가격은 경소 $138/톤, 중소 $130/톤, 전융 $325/톤 등으로 중국 마그네시아 수출가격의 최저가 수준과 유사하거나 하회
o 마그네시아 가공 공정에서 수반되는 환경오염 감축을 위해 중국 기업의 기술개발 진행
- 중국 대기업 F사는 전기 효율 향상과 분진 비산 저감이 가능한 대형 소성로에 의한 중소 마그네시아 생산 특허 획득
* 기존 소성은 직경 10미터 높이 20미터이나 신개발 소성로는 내경 3미터 외경 9미터 높이 47.5미터
- 다스차오의 J사는 경소마그네시아를 만들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재가공하여 액체나 드라이아이스를 만드는 공법을 개발하여 친환경적인 생산
마그네시아 가공공정은 석회석 가공공정과 일정부분 유사, 중국보다 엄격한 국내 환경기준을 충족시켜온 국내 석회 가공 전문업체의 경험과 기술을 향후 북한 마그네사이트 협력사업 추진 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

□ 중국 이외 국가 동향

* 중국발 공급 불안으로 ‘18년 세계 마그네시아 공급은 어려움 지속 전망, 전융 가격 급등으로 ’16년 가동을 중단했던 네덜란드 R사가 공장 재가동을 고려하는 등 외국 기업의 마그네시아 생산 확대 활발 예상 <<끝>>
 
 
     
 
www.sonosa.or.kr 뉴스레터 추천하기 뉴스레터 수신거부 하기 북한자원뉴스레터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